똑같이 전날 종가 대비 -10% 하락해도 하락 시 걸린 시간에 따라 차트의 모양은 달라진다. 하루 종일 조금씩 하락해서 -10%가 발생한 차트와 불과 몇 분 만에 -10%의 하락폭이 발생했을 경우의 차이점에 대해서 생각해보자. 단기간에 주가를 하락시키면 그 순간의 매수호가에는 물량이 비어있을 확률이 높다. 설마 여기까지 떨어지겠어라고 생각되는 가격대에는 대체로 매수 주문을 걸어놓지 않기 때문이다. 원하는 가격대 부근에 왔을 때 직접 주문을 넣거나 매수 시세포착과 같은 HTS 기능을 통해서 현재가가 매수가 부근에 왔을 때 주문이 들어가게끔 설정해놓는다는 가정하에 주가가 급락했을 때 매수 호가창은 비어있을 확률이 높다. 반면에 천천히 떨어지는 종목을 생각해보자. 보유하고 있는 종목이거나 매수기회를 노리고 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