공급 4

호가창과 체결창 (대량 매도 체결량)

호가창 (대량 매도체결) 호가창에는 현재가를 포함한 매도10호가 매수10호가에 해당하는 매수 및 매도 주문을 보여준다. 아직 미체결된 상태이기 때문에 체결창과는 다른 의미를 갖는다. 체결창은 이미 체결된 물량을 표시해준다. 이미 체결된 물량이기 때문에 호가창의 데이타와는 반대로 과거 및 확정 데이타라고 볼 수 있다. 호가창은 미체결된 주문량을 표시한다 장마감 기준 '머큐리' 종목에는 200,921매수 주문이 남아있다. 이는 미체결 매수 주문이며 한국 주식시장에는 상하한가가 존재하기 때문에 매도 호가는 비어있는 것을 볼 수 있다. 왼쪽 하단 박스에는 체결 물량을 보여준다. 체결 물량은 이미 확정된 거래이기 때문에 매수한 물량을 청산하기 전까지는 본인이 리스크를 감당해야한다. 이 때 리스크를 통해 수익 또는..

2018년 12월 07일 오늘메모

1. 수익을 가능케 하는 것은 기법이 아니라 트레이더다 조급함을 이겨내지 못하면 이미 꾸준한 수익을 발생할 수 있는 실력이 있음에도 계속해서 손실이 발생하게된다. 주식이 어려운게 아니라 주식매매가 어려운 것이다. 규칙대로 매매했을 때 벤치마킹 수익률 이상의 수익은 충분히 가능하지만 이를 뒷받침하는 반복되는 과정은 아무나 할 수 있는게 아니다. 수익 내는 방법보다는 수익을 낼 수 있는 사람이 되는게 우선인것같다. 2. 개인과 세력의 차이 개인이 운영하는 자금을 모두 합하면 기관 또는 외인의 자금보다 더 크다. 하지만 주식이라는 자금 싸움에서 대체로 우위를 차지하는 것은 세력이다. 세력은 총 자금은 개인의 총 자금보다는 덜 하지만 각 주체가 운영하는 자금은 개인보다 훨씬 크다. 1억 이상의 자금을 운영하는것..

거시경제학과 미시경제학의 차이?

[거시경제학과 미시경제학] 사람의 손길이 닿는 대부분의 것들은 크게 두 가지로 분류되요. 큰 그림에서 관점과 세밀한 부분에서의 관점. 경제학도 마찬가지인데요 다들 들어보셨을거에요 거시경제학(큰 그림) 그리고 미시경제학(작은 그림?). 경제학은 개인, 사업, 정부, 국가가 원하는 것과 필요로 하는 것을 달성하기 위해 주어진 자원을 어떻게 할당하는지에 대해서 배우는 학문이에요. 거시경제학은 국가적 또는 국제적인 차원의 큰 그림에서 위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함이랍니다. 은행 금리, 한 나라의 취업률, 국민총생산, 무역 수지 적자 및 흑자, 외환 환율 등 주요 경제 활동 및 자료에 관한 학문이에요. 반면에 미시경제학은 경제학의 더 세세한 부분을 연구하는 학문이에요. 개인이나 한 사업체의 행동 유형, 그리고 그들이..

수급이란 무엇일까?

[수급에 대한 나의 생각] ※ 모든 투자에 대한 책임은 투자자 본인에게 있으며 본 페이지의 정보는 투자에 참고만 하시기 바랍니다. 수급이란 '수요와 공급을 아울러 이르는 말' 이라고 네이버사전에 나와있네요. 영어로는 Supply and Demand. 대학교 1학년 때 처음 경제학 강의에서 배우는 내용인데요 저는 지금까지도 수급에 대해서 깊게 생각해본적이 없는 것 같네요. 그렇다면 수요와 공급은 또 어떤 의미를 갖는지도 알아봐야겠어요. 먼저 수요는 '어떤 재화나 용역을 일정한 가격으로 사려고 하는 욕구'라고 되어 있는데요. 결국 수요라는 단어는 사람의 수 많은 욕구 중 한 종류라고 이해하면 될 것 같아요. 공급은 또 어떤 의미를 갖을까요? 공급은 수요와는 달리 욕구라는 단어는 찾아볼 수 없네요. 경제학적인..

728x90